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AOP
- SQL
- NewServer
- 일급객체
- Spring
- curryr
- 자유변수
- oracle
- joinpoint
- URIMalformedURIException
- AfterReturnning
- REGEXP_COUNT
- ModulesPath
- URI$MalformedURIException
- ArrayLike
- xml
- TargetObject
- Eclipse
- javacversion
- tomcat
- ProjectFacets
- Annotation
- javaversion
- URIMalformedURI
- SpringFramework
- URIMalformedURI오류
- map
- springversion
- LexicalScope
- jdk
- Today
- Total
잼's Tech
[Oracle] SQL Developer 설치, 접속 본문
[Oracle] SQL Developer 설치, 접속
Oracle은 DB의 손 쉬운 관리를 위해 GUI인 SQL Developer를 지원한다.
1. 다운로드, 설치
1) https://www.oracle.com/tools/downloads/sqldev-downloads.html 접속
2) 본인의 환경에 맞는 것을 다운로드하여 설치
2. 접속
실행 후, 사용할 DB에 접속을 할 것이다.
따라오기에 앞서, DB가 없다면
https://jaem-tech.tistory.com/6을 통해 계정을 생성해주자!
[Oracle] DB 계정 생성
오라클 설치 후 사용할 계정 생성 1) cmd창에서 sqlplus를 통해 관리자 계정 접속 (계정을 생성할 것이므로 sys 계정으로 접속) 오라클 관리자 계정은 sys 계정(최상위 계정), system 계정(sys와 같은 권한
jaem-tech.tistory.com
1) 실행 후 "수동으로 접속 생성" 클릭
2) 입력 사항을 적어준 후 접속을 눌러준다.
① 사용할 이름을 지정 (알아보는 용도다)
② 계정 ID를 입력
③ 계정 비밀번호를 입력
④ 계정의 비밀번호를 저장할 것인지
⑤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장치의 DB에 접속할 시 IP
-> localhost: 루프백 호스트명, 자신의 컴퓨터를 의미
= 자신의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만들어진 DB라면 localhost 입력
⑥ 포트번호
오라클 포트번호에는 1521과 8080이 있다.
1521: Oracle의 세션 접속용 포트
8080: 관리툴과 XML DB 접속용 포트
⑦ DB의 이름
orcle 설치 시 sid를 지정해 주는데 보통
Express Edition은 xe를
Enterprise Edition은 orcl을 지정해준다.
3)
좌측에 DB가 만들어진 것이 보일것이다.
더블 클릭을 통해 접속하면 SQL문 전송 및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.
'DB > 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racle] REGEXP (0) | 2021.08.09 |
---|---|
[Oracle] SQL 함수 (0) | 2021.08.09 |
[Oracle] 서버 구조, SQL 처리 과정 (0) | 2021.08.09 |
[Oracle] DB 계정 생성 (0) | 2021.08.09 |